출애굽기 8:20~25절
개구리, 티끌, 파리 재앙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나님이 이스라엘에게 자신을 드러내기 시작합니다.
출애굽은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봐야 한다고 했습니다.
구원의 사건인 출애굽의 의미와 하나님의 자기계시입니다.
하나님은 단계적으로 애굽을 심판해 나가시면서 단계적으로 모세와 이스라엘을 설득하고 있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을 섬길 것인가, 보이지 않지만 권능의 하나님을 섬길 것인가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시청각 자료를 통해 깨닫도록 하시고 계십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이 어떤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 무슨 일을 할지 알지 못합니다.
전설과 같은 아브라함의 이야기를 들어서 조금 알 뿐입니다.
순서를 밟아서 알아들을 수 있도록 가르쳐주기 시작할 것입니다.
10가지 재앙은 바로를 항복시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누구신지를 각인시키는 것으로 전개됩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다스리신다, 하나님이 통치하신다, 바로가 아니라 하나님이 다스린다, 나인강의 잡신이 아니라 하나님이 다스린다. 하나님이 네 인생의 통치자이시다. 이것이 신앙의 첫 출발입니다. 누가 너를 다스리는가에 대해 정리가 되지 않으니까 갈등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백성 되게 하는 것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부르신 궁극적인 목적이기도 합니다.
예수님을 보내신 이유입니다.
10가지 재앙에 대한 분류법이 있습니다.
3, 6, 9, 10재앙으로 분류합니다.
티끌, 독종, 흑암은 10번째 장자의 죽음으로 멈추었습니다.
다른 재앙은 멈춤에 대한 지시가 있으나 3, 6번째 재앙은 거두었다는 선언이 없습니다.
흑암은 10번째 어린양의 피로 멈추게 됩니다.
지금도 지속된다는 것입니다.
이런 시가 있습니다.
나무에게 신을 보여달라고 했네,
나무가 꽃을 피었네
첫 번째 재앙은 나일강이 피로 변하는 것이었습니다.
나일강에 던져진 어린 아이들의 생명을 삼킨 것에 대한 심판입니다.
둘째 재앙은 개구리 심판입니다.
개구리는 애굽 신 중에 하나로 풍요와 다산의 신입니다.
개구리 알을 보고 그렇게 생각했는지 모르겠습니다.
1~2째는 강에서 시작된 심판입니다.
3번째는 땅에서 벌어진 재앙입니다.
이로 번역하고 있지만 모기, 하루살이로 번역하기도 합니다.
애굽의 요술사들이 흉내를 내지 못합니다.
그들은 19절에서 이는 하나님의 권능이라고 말합니다.
권능은 손가락으로 번역합니다.
하나님의 손가락이 나타나서 한 일입니다.
사람의 일이 아니고 하나님의 권능입니다.
하나님의 능력을 부인할 수 없으니까 인정을 하면서도 자기들이 졌다고 시인하는 것은 아닙니다. 회개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런 것과 비슷합니다.
큰 재난이 오면 이것이 천재인가 인재인가를 놓고 설전을 벌입니다.
천재이라고 결론을 내리면 아무도 말을 하지 않습니다.
더 두려워해야 하는데 가만히 있습니다.
하나님은 관심은 내 백성입니다.
1절에서 분명히 밝히고 있습니다.
구속하여 지명하여 불러낸 나에게 관심을 가지십니다.
네 번째 재앙부터 애굽 땅과 이스라엘 땅을 구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2절, 9:4절, 10:23절, 11:7절에서 하나님이 분명히 구별하셨음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을 인정하는 백성과 인정하지 않는 백성과 구별하십니다.
차별이 아닙니다.
하나님을 인정하는 백성을 놓고 차별하지 않습니다.
구원의 그림을 비치고 있습니다.
구별은 백성이 잘나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인 선택입니다.
바로가 4번째 재앙 후에 반응이 나옵니다.
25절에 이 땅에서 제사를 드리도록 합니다.
바로는 타협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너희들이 섬기는 하나님을 애굽의 여러 신 중에 하나로 인정하고 적당히 자유를 주겠다는 것입니다.
세상은 신앙적인 타협을 요구합니다.
세속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이유는 타협을 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27절의 말씀처럼 명령하신 대로, 말씀대로 행하겠습니다.
하나님도 좋고 돈도 좋다는 태도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바로가 다시 타협을 시도합니다.
28절에 광야에 보내줄 테니 멀리가지 말라고 합니다.
세상은 어떻게 하든지 묶어 두려고 합니다.
세상은 권세 잡은 자의 것인데 세상이 성도를 어떻게 하든 묶어 두려고 합니다.
하나님만 섬기는 예배자로 서는 것이 녹녹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출애굽기(완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로의 적은 바로다 (0) | 2022.04.14 |
---|---|
완고한 바로 왕 (0) | 2022.04.08 |
고집 (0) | 2022.03.25 |
믿음의 말을 할 때 (0) | 2022.03.21 |
흔들리는 모세 (0) | 2022.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