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계시록 3:14~22절
계시록에 기록된 7개 교회를 살펴보면서 3~4가지 특징을 알게 되었습니다.
- 주님이 각 교회에 적절하면서 필요한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우리의 상황과 형편에 따라 우리 주님은 다가와서 말씀하시고 가르쳐 주시는구나
- 밝은 면과 어두운 면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칭찬과 책망으로 협력하여 구원을 이루어 간다는 것입니다.
- 영적인 전투가 있다는 것입니다.
- 이기지는 자에게 본명하고 확실한 상급을 약속하고 계시면서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사실을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우리들이 섬기는 교회는 중 어느 교회에 가까운가요?
칭찬만 있는 서머나교회와 빌라델비아교회가 교회이기를 원하신 줄 모르겠습니다.
아무도 책망만 있는 사데교회난 라오디게아교회를 원하시지는 않을 줄 믿습니다.
그런데 칭찬만 있는 서머나, 빌라델비아교회는 고난과 환란이 많았고, 작은 능력으로 살아야 하는 어려운 현실 가운데 신앙생활을 한 이들입니다. 세상적으로 보잘 것 없고, 안된 교회입니다.
반면 사데교회와 라오디게아교회는 책망만 있지만 살았다고 자부하면서 신앙생활을 하고, 부를 자랑하면서 편안하게 신앙생활을 하는 이들입니다. 세상적으로 보면 성공한 교회이고 규모가 있는 형태를 갖추었습니다.
솔직히 우리들은 서머나, 빌라델비아를 닮고자 원한다고 하지만 사데나 라오디아게아교회를 추구하고 있다는 아이러니가 있습니다.
제가 7개 교회를 자세히 살펴보고 설교를 준비하면서 저의 작은 소견을 갖게 되는 것은 혼란스러운 평가 속에서 무엇을, 어디를 지향하면서 살아야 하는지를 분명하게 가르쳐 주었습니다. 주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자기를 부인과 자기 십자가를 지고 가는 행복한 길을 선택해야겠다고 다짐하게 됩니다.
아시아 7교회 중 마지막 교회인 라오디게아입니다.
라오디게아교회는 칭찬이 없고 책망만 있는 교회입니다.
책망을 받은 이유가 미지근하다는 것입니다. (16절)
이들이 미지근하게 된 이유가 17절에서 알 수 있듯이 스스로 생각할 때 부자이기 때문입니다.
부자이기 때문에 미진한가요? 부자들은 다 미지근한 것은 아닙니다. 이들이 미지근하게 된 이유가 있습니다.
라오디게아는 교회만 부자가 아니라 도시 자체가 부자입니다.
소아시아에서 이름 높은 금융도시가 자리 잡고 있을 정도였습니다.(금융)
의류 제조업의 중심지였습니다.(패션)
유명한 의료용 약품의 생산지였습니다.(의료)
특히 ‘나드’라고 하는 향유와 ‘안약’을 수출까지 할 정도였습니다.
지금도 이 3대사업은 막대한 부를 가져다 주고 있습니다.
얼마나 부자인가하면 큰 지진이 일어났는데, 17년, 60년에 중앙정부의 지원을 거절하고 도시의 자금으로 재건할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이 도시의 가장 취약점이 있습니다. 물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서쪽에 10km 떨어진 히에라폴리에서 수로를 만들어 물을 공급받았습니다.
히에라폴리에서 공급받은 물은 온천수인데 석회석이 많이 섞여 생활용수 사용했습니다.
뜨거운 온천수였는데 오는 도중에 식어서 미지근하게 되었습니다.
이 물을 먹으면 구토가 일어납니다.
동쪽에 20km 떨어진 골로새에서 빙하가 녹아서 만들어진 차가운 물을 받았습니다.
차가운 물이었는데 오는 도중에 미지근하게 되었습니다.
이 물은 식수로 사용했는데, 늘 미지근한 상태였습니다.
너희들의 신앙적인 상태가 마치 두 도시에서 들어오는 물처럼 미지근하게 되었다는 겁니다.
처음 출발했을 때, 처음 복음을 들었을 때, 본연의 모습을 잃어버렸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마치 뜨거운 온천수가 미지근해져서 들어오는 것처럼, 그것을 먹으면 구토가 일어나는 것처럼 너희들의 상태가 이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우리들의 자화상은 아닌가요?
'요한계시록(완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지근한 라오디게아교회(3) (0) | 2020.09.24 |
---|---|
미지근한 라오디게아교회(2) (0) | 2020.09.24 |
작은 능력으로도 칭찬 받은 빌라델비아교회(2) (0) | 2020.09.21 |
작은 능력으로도 칭찬 받은 빌라델비아교회(1) (0) | 2020.09.21 |
겉과 속이 다른 사데교회(2) (0) | 2020.09.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