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25:19~34절
형의 발꿈치를 잡고 나온 야곱을 이스라엘로 빚으시는 하나님을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결혼을 한지 20년이 흘렀는데 이삭은 자식이 없을 때 기도했습니다.
어떤 믿음으로 기도했을까요?
이삭은 하나님의 언약을 믿었을 것입니다.
아브라함의 후손으로 하여금 큰 나라를 이루게 해 주겠다는 하나님의 언약을 믿고 기도했습니다.
또 어떤 믿음으로 기도했을까요?
전능하신 하나님입니다.
하나님의 능력을 믿고 주님의 뜻을 알았기 때문에 기도를 드렸습니다.
이는 아브라함과 사라로부터 배운 신앙입니다. 또한 아브라함은 살아 있습니다.
부모를 통해 배운 신앙을 이제는 자신의 삶에 적용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이런 믿음의 태도로 드린 이삭의 기도를 들어주셨습니다.
리브가가 임신을 했습니다.
쌍둥이를 임신했는데, 태속에서 서로 싸웁니다.
불안해져서 주님께 기도합니다.
하나님께서 가르쳐주십니다.
리브가의 믿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문제가 있을 때 하나님께 나아가서 물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말씀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리브가는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를 알았던 것입니다.
이 집안은 하나님의 전적인 개입 안에서 이뤄져 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거의 동시에 출산했다고 볼 수 있는 에서와 야곱을 통해 하나님의 절대주권의 인간의 자유의지를 배울 수 있습니다.
발뒤꿈치를 붙잡다는 사기를 치다, 속여서 빼앗으려고 하는 자, 간사한 꾀를 부리다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하나님은 이런 야곱을 믿음의 조상으로 만들어 가십니다.
들사람=사냥을 즐기는 사람
장막에 거함=조용하다=온전한 생각을 하며 집을 지킴=탐=가업을 이어 받는 사람으로 에서와 비교해서 사용된 의미입니다. 야곱이 온전한 사람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야곱은 하나님의 축복을 갈망한 사람입니다.
스스로 힘으로 축복을 받으려고 했다는 점이 문제이기는 합니다.
아브라함이 하갈을 통해 자녀를 얻으려고 했던 것처럼 행동했다는 것입니다.
믿음은 기다림입니다.
27~28절-에서를 좋아한 이삭, 야곱을 사랑한 리브가 사이에 갈등이 있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정하셨습니다.
이삭은 받아들이고 에서를 이해시킬 필요가 있었습니다.
에서야 야곱을 택했다고 달래면서 사전에 교육을 시켜서야 했습니다.
리브가는 복중에서 기도했는데, 두 민족이 퍼져나갈 것을 알려주셨습니다.
하나님의 주권적 선택입니다.
이삭이 따라주지 못했던 것입니다.
부부간의 신앙적인 갈등이 있었을 겁니다.
야곱은 장자권에 관심이 있었습니다.
반면 에서가 경홀히 여겼습니다.
가볍게 여겼다=가치를 몰라봤다는 것입니다.
팥죽 한 그릇으로 장자권을 샀지만 그것은 정당한 이양이 아니었습니다.
얍복강에서 정식으로 장자권을 부여받습니다.
로마서 9:10~16절
야곱을 사랑하고 에서는 미워했다는 것은 야곱을 더 사랑했다는 의미입니다.
아브라함에게 준 축복은 야곱에게 주시겠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선택은 행위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기준은 하나님의 마음이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주권입니다.
예를 들어 거지가 10명이 있는데, 5명에게 준다면 주는 사람의 마음입니다.
긍휼히 베풀자에게 긍휼을 베푸는데 불의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인간의 자유의지 함께 갑니다.
에서는 하나님의 축복을 경홀히 여겼습니다.
에서는 결과적으로 축복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야곱은 꾀돌이지만 가치를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절대주권과 자유의지의 절묘한 조화를 보고 있습니다.
구원은 하나님의 선물이며, 두렵고 떨리며 이루라는 내가 노력해서 가야 합니다.
가치를 알아보는 눈이 열려 있어야 합니다.
축복권과 팥죽 중에 가치를 몰랐습니다.
수많은 선택의 이면에는 가치관이 깔려 있습니다.
성경적인 가치관이 아니면 회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