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휼히 여기는 사람과 여기지 않는 사람에 대한 예수님의 비유를 보고자 합니다.
긍휼히 여기는 사람에 대한 가장 잘 표현한 예화는 선한사마리아사람의 비유입니다.
누가복음 10:25~37절의 말씀입니다.
어떤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내려가다가 강도를 만났습니다.
이 어떤 사람은 유대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사장이 지나가고, 레위인이 지나갑니다.
이 분들은 성전에서 섬기는 일을 하기 때문에 혹시 강도만난 사람이 죽게 되면, 부정한 사람과 접촉하게 되고, 부정하게 되어 당분간 자가 격리를 해야 할 처지에 처하게 됩니다. 그러면 막대한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대으적인 차원에서 피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종교행위가 우선시 하는 종교인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움을 준 사마리아인도 죽은 시체를 만지면 부정하게 되어 자가 격리를 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한 사마리아사람은 강도만난 사람에게 도움을 줍니다.
그것은 비용이 드는 일일뿐만 아니라 수고가 따르는 일이었습니다.
어쩌면 강도만난 사람을 돕다가 자신도 강도를 만날 수 있는 위험한 일이기도 했습니다.
자신의 영행을 멈춰야 하는 부담스러운 일이기도 했습니다.
당시 사마리아인으로 산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사는 게 팍팍하고,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지 못하는 그런 처지에 있습니다.
어려운 처지에 있다는 것을 알고 그와 함께 있어주고, 도움을 주는 긍휼히 여기는 마음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이런 생각을 합니다.
삶의 여유가 있을 때, 인정받는 자리에 있을 때, 어떤 위치에 있을 때 도와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사마리아사람은 유대인으로부터 사람취급도 받지 못하고, 자기 인생도 팍팍할 때, 모험을 무릅쓰고, 비용을 드리면서 자기가 할 수 있는 것을 다 했습니다.
이것이 긍휼히 여기는 마음입니다. 이것이 긍휼히 여기는 사람의 행동입니다.
10:36~37절 “네 생각에는 이 세 사람 중에 누가 강도 만난 자의 이웃이 되겠느냐
37.이르되 자비를 베푼 자니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가서 너도 이와 같이 하라 하시니라“
선한사마리아인처럼 좋은 이웃이 되기 위해서는 기름과 포도주를 상처에 붓고, 나귀에 태우고, 주막까지 가는 수고를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또한 강도만난 위험한 곳에 머물면서 그를 치료해 주었습니다.
좋은 이웃이 되는 것은 위험을 무릅쓸 만큼 가치 있는 일이 된다는 것입니다.
선한사마리아인처럼 좋은 이웃이 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손실도 감수해야 합니다.
참된 삶은 하나님을 정말로 사랑하고, 이웃을 정말로 사랑하는 것입니다.
이웃을 풍성하게 사랑하면 사는 것 같이 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긍휼히 여기는 사람들의 삶의 아름다운 모습입니다.
긍휼히 여기지 않는 사람은 나사로와 부자의 비유에서 부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누가복은 16:19~31절의 말씀입니다.
부자는 자색 옷을 입고, 고운 베옷을 입고 날마다 호화롭게 즐겼습니다.
그의 집 앞에는 나사로라는 거지가 있습니다.
헌데 투성이입니다.
부자 집에서 떨어지는 부스러기로 배불리려고 했지만 여의치 않았습니다.
부자는 아쉽게도 나사로라는 거지를 불쌍히 여기지 않았습니다.
죽음 이후에 그들이 갈라지는 것을 보게 됩니다.
거지는 아브라함의 품에 안기었습니다.
부자는 죽었습니다.
상대방의 아픔을 깊이 아파하며 실질적으로 행동에 나서는 것이 긍휼인데 이 부자에게는 그런 긍휼함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긍휼히 여기지 않는 것은 직무유기입니다.
그 사실을 만달란트 비유에서 가르치고 있습니다.
마태복음 18:21~35절입니다.
긍휼히 여기는 마음은 용서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베드로가 예수님에게 7번 용서하면 되지 않느냐고 묻습니다.
예수님이 7x70번을 하라고 하십니다.
그러시면서 만달란트 빚진 자의 비유를 말씀하십니다.
1달란트-6천 데나리온-20년 연봉인데, 만달란트는 상상할 수 없는 액수입니다.
임금이 탕감할 수 없는 빚진 자를 탕감해 준 것입니다.
탕감 받은 신하가 100데나리온(3개월10일 일당)의 금액을 빚진 자를 탕감해 주지 않았습니다. 왕이 이 사실을 알고 만달란트 빚진 자에게 진노합니다.
마태복음 18:33~35절에서 말씀하듯이 왕이 불쌍히 여겨서 탕감해 줬는데, 너는 불쌍히 여기지 않았구나라며 책망하신 겁니다.
긍휼은 이 원리입니다.
긍휼히 여기는 마음과 행동을 예수님에게 배워야 합니다.
예수님은 세상 사람들을 보실 때 불쌍히 여겼습니다.
마태복음 9:31절은 목자 없는 양같이 불쌍히 여겼습니다.
고통 중에 있는 자를 불쌍히 여겼습니다.
긍휼은 율법의 항목이 아닙니다.
타인의 아픔에 아파하니까 복이 있습니다.
이런 삶을 선택하며 사는 사람에게 위로를 주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백성이 되면 이렇게 살고 싶어지는 것입니다.
'산상수훈(완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평하게 하는 자 (0) | 2021.01.11 |
---|---|
하나님을 볼 수 있는 마음 (0) | 2020.12.13 |
완전한 공감의 복(1) (0) | 2020.12.06 |
내 갈급함 (0) | 2020.11.30 |
온유와 땅의 함수관계(2) (0) | 2020.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