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12:10~20절
부르시는 하나님은 오늘도 부르시고 계십니다.
하나님의 부르심에는 명확한 목적이 있습니다.
복 주시기 위해서입니다.
땅과 자손뿐만 아니라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의 백성이 되는 복입니다.
창세기를 통해 하나님이 누구신가를 배우려고 합니다.
하나님을 알자 힘써 하나님을 알자고 했듯이 우리도 힘써 하나님을 알도록 해요.
오늘은 우리의 인생 가운데 개입하시는 하나님을 알고자 합니다.
하나님이 우리 인생 가운데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개입하는지 알고자 합니다.
하나님이 개입하시는 시기와 방법은 각각 다릅니다.
하나님이 아브람의 인생 가운데 어떻게 개입하셨을까요?
또 다른 분들에게 어떻게 개입하셨을까요?
아브람에게 위기가 찾아왔습니다.
기근입니다.
목축업자인 아브람에게 치명적인 위기입니다.
기근으로 인해 양들에게 먹일 물과 풀이 부족해졌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대부분 위기는 결핍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아브람에게 찾아온 위기는 물의 결핍입니다.
누구나 결핍의 문제로 위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건강의 결핍, 물질의 결핍, 애정의 결핍, 관계의 결핍 등등 다양한 결핍으로 위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아브람은 잠시 애굽의 내려감으로 결핍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가나안에서 이미 자리잡고 있는 목동들이 이용한 해결책이기도 했습니다.
아브람도 그들의 관습에 따라, 어쩌면 세상적인 상식에 따라, 하나님의 약속을 잠시 잊고 애굽으로 내려갔습니다.
결핍은 내려감을 동반합니다.
결핍의 문제 앞에 선 아브람에게 빠진 내용이 무엇일까요?
아브람이 선택하는 과정에서 하나님이 보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아브람의 선택에 개입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은 아브람을 책망하지 않고 보이지 않지만 함께 걷고 있을 뿐입니다.
애굽으로 내려간 아브람은 고민거리가 생겼습니다.
애굽의 왕이 자기를 죽이고 아름다운 아내를 빼앗아 갈 것을 염려했습니다.
사라의 나이가 60세 초반정도 됩니다.
그래서 부부는 많이 고민했습니다.
고민 끝에 생각해 낸 방법이 아내를 누이로 속이기로 했습니다.
혹시 아내를 빼앗겨도 자기의 목숨을 구하기 위한 대비였습니다.
여기서도 하나님은 개입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아브람도 하나님께 지혜를 구하지 않았습니다.
아브람이 속이기로 한 근거는 어쩌면 하나님이 땅과 후손을 주시겠다고 약속에 근거한 대비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아브람에게 후손을 주실 거라고 했습니다.
아브람도 씨를 통해 후손을 주실 것이라는 믿었을 겁니다.
그렇게 마련한 인간적인 묘책은 처음엔 효과가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상상은 가끔 현실이 됩니다.
예상했던 일이 벌어졌고, 아내를 누이라고 속여서 목숨을 건졌지만, 아내는 빼앗겼습니다.
그러나 아브람은 바로에게 생각하지 않는 예물을 받았습니다.
16절입니다.
이젠 더 이상 아브람이 할 수 있는 일은 없습니다.
이대로 끝난 상태가 되었습니다.
이때 비로소 하나님이 개입하십니다.
누구에게요?
바로에게입니다.
17~18절입니다.
바로 왕이 알 수 있는 큰 재앙이었습니다.
바로가 이 일을 알아보고 이런 말을 합니다.
“네가 어찌하여 그를 네 아내라고 내게 말하지 아니하였느나”
그래서 아브람이 사래를 아내라고 말했다면 바로는 사래를 빼앗지 않았을까요?
아브람을 죽이지 않았을까요?
바로는 아브람을 죽이고 사래를 빼앗아 가려고 했을 겁니다.
아브람이 사래를 누이라고 속이지 않고 아내라고 했다면, 바로가 아브람을 죽이기 전에 하나님은 분명하고 명확하게 개입하셨을 겁니다.
하나님은 아브람에게 빠르게 개입하셨습니다.
그리고 절체절명의 순간에 아내를 구해주셨습니다.
하나님의 개입이 아브람의 경우처럼 이렇게 즉시로, 빠르게 개입할까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상당합니다.
나오미에게는 아주 늦게 개입하십니다.
룻기 1:1절을 보면 베들레헴에 흉년이 들었습니다.
아브람과 비슷하게 결핍의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엘리멜렉은 재산을 처분하고 아내와 두 자녀를 데리고 모압 지방으로 피신했습니다.
그곳에서 살려고 내려갔습니다.
내려감은 불행과 연결됩니다.
아내와 두 자녀를 남겨 두고 엘레멜렉은 죽게 됩니다.
이쯤에서 하나님이 개입하셔야 할 것 같은데, 하나님은 침묵하십니다.
이어서 두 아들도 죽게 됩니다.
나오미가 완전히 밑바닥까지 가도록 내버려두신 하나님은 나오미의 인생에 개입하기 시작합니다.
하나님은 아브람과 달릴 나오미에게는 소식을 듣게 합니다.
하나님이 자기 백성을 돌보신다는 소식입니다.
하나님은 나오미가 고향으로 돌아오도록 개입하십니다.
하나님은 며느리 룻과 고향에 돌아온 나오미에게 본격적으로 개입하십니다.
소망이 없는 며느리 룻이 보아스를 만나게 됩니다.
그리고 결혼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 보아스는 기업무를 자의 의무하게 됩니다.
아브람과 다른 방법으로 나오미에게는 소식과 말씀으로 개입하십니다.
이삭이 기근을 만났을 때는 바로 개입하셔서 애굽으로 내려가지 말라고 하십니다.
이처럼 하나님의 개입하심은 사람마다 각각 다릅니다.
그러나 목적은 동일합니다.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가는 것입니다.
아브람만이 하나님의 언약 가운데서 선택받은 것이 아니라 아내 사래도 선택받은 그릇임을 가르쳐주기 위해서입니다.
사래도 동등한 위치에 올려놓아 주셨던 것입니다.
이로써 아브람에게 진정한 사랑을 가르쳐 주기 위해서입니다.
가정을 매는 띠는 바로 사랑이라는 것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아내의 존재를 그냥 제도 아래 함께 사는 인물로 인정하는 데 머물지 않고 진정으로 사랑해야 할 대상임을 깨닫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하나님은 아브람을 통해 이루실 하나님의 나라는 사랑의 공동체이어야 한다는 것을 교훈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이 원칙은 변함이 없습니다.
에덴동산에서 아담과 하아와가 사랑의 가정공동체로 출발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아브람으로 시작하는 하나님의 나라도 기장 기초가 되는 사랑의 가정공동체로 출발한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서입니다.
나오미에게 개입하신 하나님은 다윗을, 다윗의 계보를 통해 구원자로 오신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이루시기 위해서입니다.
하나님의 개입하심의 결과는 어떻게 나타날까요?
아브람은 물질적으로 윤택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덤입니다.
나오미도 물질적인 복을 받습니다.
이것도 덤입니다.
하나님이 누구신가를 조금씩 알아가게 됩니다.
이것이 가장 큰 복입니다.
하나님을 알 때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들이 기근을 만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하나님이 분명히 개입하신다는 것을 믿어야 합니다.
시기와 방법은 각각 다르지만 분명하고 명확하게 개입하신다는 것을 믿어야 합니다.
위기는 기회입니다.
하나님이 누구신가를 가르쳐주기 위해서 이런 기근을 허락하셨다는 것을 믿어야 합니다.
기근을 통해 이전에 알지 못했던 또 다른 하나님을 만나게 될 것을 소망해야 합니다.
인생의 기근은 하나님의 개입의 시간이기도 합니다.
절대 선하시고 능력이 많으신 하나님이 개입하는 시간입니다.
그러기에 하나님은 반드시 내 길을 인도하신다는 확신을 가져야 합니다.
고전 10:13절 “사람이 감당할 시험 밖에는 너희가 당한 것이 없나니 오직 하나님은 미쁘사 너희가 감당하지 못할 시험 당함을 허락하지 아니하시고 시험 당할 즈음에 또한 피할 길을 내사 너희로 능히 감당하게 하시느니라”
인생의 기근은 하나님이 개입하는 기회입니다.
인생의 내려감은 하나님을 알게 되는 기회입니다.
우리는 그의 손에 빚어짐에 감사하면 됩니다.
'창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문에 대답하시는 하나님 (2) | 2024.12.01 |
---|---|
내 생각과 다른 하나님 (2) | 2024.11.10 |
눈높이 교육을 하시는 하나님 (1) | 2024.11.03 |
두려움을 이기게 하시는 하나님 (1) | 2024.10.27 |
믿음의 선택을 이끄시는 하나님 (1) | 2024.10.20 |
댓글